전기 관련/전기 기초이론5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분류 UPS시장에는 다양한 설계방식의 UPS가 나와 있습니다. 이들 중에서 주요 부하에 일정한 수준의 깨끗하고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UPS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시스템의 구성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모든 UPS는 다음 범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동작방식에 의한 분류 On-line 방식 인버터가 상시동작 하므로 전원장애시 상용전원에서 인버터로의 전환(절체시간) 시(절체시간) 지연시간이 없습니다. Network 통신용 이외의 대부분 부하의 경우 4~8ms (¼~½Hz)의 절체 지연시간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Network 통신 Line에서는 이와 같이 작은 지연시간에도 많은 양의 데이터 증발현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On-Line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버터가 상시 동작.. 2023. 1. 9. 변압기 (Transformer) - 3 주요 시방과 특성 하나의 권선에 정격 주파수의 정격전압을 가하고 다른 권선을 모두 개로 했을 때의 손실을 무부하손이라고 하며 대부분은 철심 중의 히스테리시스손과 와전류손입니다. 또한 변압기에 부하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을 부하손이라고 하며 권선 중의 저항손 및 와전류손, 구조물, 외함 등에 발생하는 표류부하손 등으로 구성됩니다. 변압기의 손실에는 무부하손, 부하손 외에 보기손(냉각장치의 손실)이 있는데, 효율의 산출에는 일반적으로 보기손을 제외하고 무부하손과 부하손의 합에서 이른바 규약효율을 구합니다. 한편, 실효효율이란 그 기기에 실부하를 가하여 그 입력과 출력을 직접 측정하고 이에 의하여 산출한 효율입니다. 하나의 권선에 정격 주파수의 정격 전압을 가하고 다른 권선을 모두 개방했을 때의 .. 2023. 1. 6. 변압기 (Transformer) - 2 변압기 사용과 정격 번압기의 정격은 변압기를 사용할 때에 보증된 사용 한도를 정격이라 하며 사용상 필요한 기본적인 항목인 용량, 전압, 전류, 주파수 및 역률에 대하여 설정됩니다. 변압기에 예정된 운전방법, 즉 사용에는 8종류가 있습니다. 정격 용량은 정격 2차 전압, 정격 주파수 및 정격 역률에서 지정된 온도 상승 한도를 초과하지 않고 2차 단자 간에 얻을 수 있는 피상 전력을 말하며 kVA 또는 MVA로 표시합니다. 권선이 3개 이상 있는 변압기에서는 편의상 각 권선 용량 중 최대의 것을 정격 용량으로 한다. 이밖에 직렬 변압기를 가진 변압기, 전압조정기 또 단권변압기 등으로 그 크기가 같은 정격 용량을 가진 2 권선 변압기와 현저한 차이가 있을 때에는 그 출력의 정격 전압과 전류에서 산출되는 피상 .. 2023. 1. 5. 변압기 (Transformer) - 1 변압기의 원리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자석 또는 코일 A에 A 의해서 생기는 자속이 자석의 이동이나 전류의 단속에 의해서 검류계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을 끊어 자속과 코일의 교차수가 변화합니다. 이것에 의하여 기전력이 생기게 되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 현상을 전자유도작용이라고 합니다. 전자유도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항상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기게 됩니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변압기는 1차 측에서 유입한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서 전압 및 전류를 변성하여 22차 측에 공급하는 기기입니다. 1차 권선에 주파수 f의 전압 V₁을 인가하면 1차 권선에 여자전류 I0가 흘러 철심 중에 교번자속Φ=V₁/4.44fn 이 생깁니다. 이 교번자속에 의해서 22차 권선에 유.. 2023. 1.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