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관련/데이터센터8 데이터센터 기본용어-6 발전기 (Generator) (2) 발전기 전원은 상용전원에 비해 전기적으로는 임피던스가 높은 전원이기 때문에 전기적인 안정성이 낮아 설계적으로 고랴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발전기가 비선형 부하 (Non-Liner laod)에 전원을 공급하면 고조파 전류가 흐르게 되고 고조파 전류량이 발전기 제조사가 허용하는 범위를 넘어서면 발전기 출력전원의 왜형율이 높아지게 되어 발전기 출력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발전기 용량선정 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전력회사의 정전으로 UPS 시스템 및 냉방설비에 발전기 전원 공급 시 UPS는 Ramp-in(=Walk-in)을 통해 서서히 배터리 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시키며 냉방설비는 재가동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냉동기와 같은 주요 냉방 시스템 재가동 시에는 일시적.. 2023. 1. 2. 데이터센터 기본용어-5 발전기 (Generator) (1) 발전기는 데이터 센터 전기 설비에서 UPS에 버금가는 매우 중요한 설비입니다. 물론 발전기는 상용전원 정전 시 전원을 백업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상시 가동되지는 않으나 최상의 상태로 Standby를 유지해야 합니다. 국내 데이터 센터의 경우 서로 다른 전력 회사 변전소로부터 전력 회선을 인입하여 2N으로 구성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실제 전력 회사 정전으로 인한 장시간 발전기 가동이 거의 없다 보니 상대적으로 발전기 설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고, 발전기 전원 공급의 안정성 개선을 위한 투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인색한 편입니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데이터 센터가 발전기 시스템은 N+1 병렬 모선 (Common bus)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 2022. 12. 30. 데이터센터 (2) 데이터센터의 등급 (Tier Level) 데이터 센터의 등급으로는 Uptime Inst itute에서 정의한 [Tier Level]을 사용하고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아래의 개념을 포함하는 계통, 용량, 수량, 유지 보수성, 건축적 구획 등이 포함됩니다. 규모가 있는 데이터 센터는 대부분 “Tier 3“을 만족하도록 설계 및 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 구축되고 있는 국내의 데이터 센터는 모두 ”Tier 3”으로 설계 및 구축되었습니다. 아래의 Tier Level 구분은 기본적인 개념의 High Level Overview이며, 각 Level 수준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Check List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Tier Level High Level Overview Tier 1 (Basic) 전기와 기계.. 2022. 12. 29. 데이터센터 기본용어-4 Emergency Power System 국내의 경우 건축법, 소방법에 의해 요구되는 비상전원 설비입니다.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비상조명, 승강기, 소화 설비, 급/배수시설, 비상 설비 등에 일정 시간 동안 비상 전원 공급이 가능한 비상발전기 또는 배터리 설비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소방법에서는 상용전원 정전 시 비상발전기는 자동으로 기동 되고 10초 이내에 전압을 확립해 30분 이상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해야 하며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120분간 전원을 공급해야 합니다. (병원 설비는 10시간 이상) 비상발전기는 병원, 사업용 통신 설비, 7층 이상의 연면적 2,000m² 이상의 건축물 및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가 3,000m² 이상의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데이터 센터의 경우 건축물 규.. 2022. 12.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