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의 원리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자석 또는 코일 A에 A 의해서 생기는 자속이 자석의 이동이나 전류의 단속에 의해서 검류계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을 끊어 자속과 코일의 교차수가 변화합니다. 이것에 의하여 기전력이 생기게 되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 현상을 전자유도작용이라고 합니다. 전자유도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항상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기게 됩니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변압기는 1차 측에서 유입한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서 전압 및 전류를 변성하여 22차 측에 공급하는 기기입니다.
1차 권선에 주파수 f의 전압 V₁을 인가하면 1차 권선에 여자전류 I0가 흘러 철심 중에 교번자속Φ=V₁/4.44fn 이 생깁니다. 이 교번자속에 의해서 22차 권선에 유기전압 V₂=4.44fn₂Φ를 발생시킵니다. V₁/V₂=n₁/n₂로 되어 1차 및 22차 전압의 비는 권선의 비와 같게 됩니다. 이와 같이 1차 및 2차 권선비를 적당하게 선정함으로써 1차 전압 V₁을 임의의 2차 전압 V₂로 변경시킬 수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22차 측에 부하를 연결하였을 때에 흐르는 전류를 I₂라고 하면 n₂I₂라고 하는 기자력을 발생시킵니다. 이 기자력을 상쇄하여 지우기 위하여는 1차 측에 n₁I₁=n₂I₂를 만족시키게 되는 전류 I₁이 흐르게 됩니다. I₁/I₂=n₂/n₁의 관계에서 1차 및 2차의 전류는 그의 권수에 반비례합니다. 이상과 같이 여자전류나 1차 및 2차 권선의 임피던스를 작은 것으로서 무시하면 V₁I₁=V₂I₂로 되어 변압기는 1차 측에서 유입한 전력을 변성해서 2차 측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의 변압기에 있어서는 여자전류나 권선의 저항 또는 누설자속에 의한 리액턴스 등의 영향에 의해서 정확하게 V₁I₁=V₂I₂로 되지 않으며 V₁I₁> V₂I₂가 되지만 그 차는 몇 % 이내입니다.
변압기의 분류와 용도
변압기는 철심과 2개 또는 그 이상의 권선을 가지고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변성하여 입력 측에서부터 출력 측에 같은 주파수의 전력을 전달하는 기기입니다.
구조별 분류
분류의 종류 | 상세 내용 |
상 수 | 단상 변압기, 삼상 변압기, 단/삼상 변압기 등 |
내부 구조 | 내철형 변압기, 외철형 변압기 |
권선 수 | 2권선 변압기, 3권선 변압기, 단권 변압기 등 |
절연의 종류 | A종 절연 변압기, B종 절연 변압기, H종 절연 변압기 등 |
냉각 매체 | 유입 변압기, 수냉식 변압기, 가스 절연 변압기 등 |
냉각 방식 | 유입 자냉식 변압기, 송유 풍냉식 변압기, 송유 수냉식 변압기 등 |
탭 절환 방식 | 부하시 탭 절환 변압기, 무전압 탭 절환 변압기 |
절연유 열화 방지 방식 | 콘서베타 취부 변압기, 질소 봉입 변압기 등 |
전압․용량별 분류
변압기의 최고 정격 전압에 따라 초고압변압기, 특고압 변압기 등이 있습니다. 용량에 대하여는 대용량 변압기, 중용량 변압기, 소용량 변압기 등이 있으나 그 용량을 구분하는 범위는 애매합니다.
용도별 분류
종 류 | 용 도 |
전력용 변압기 | 발,변전소 또는 배전선에서 전압을 변경하여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배전용 변압기도 이 일종입니다. |
절연 변압기 | 복수의 계통간을 절연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TIE 변압기라고도 합니다. |
이동용 변압기 | 긴급 대비용으로 차량에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변압기로 간단한 변전설비를 장착한 경우도 있습 니다. |
접지 변압기 | 전력 계통에 중성점을 설치하여 직접 또는 적당한 임피던스를 통하여 접지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전기로용 변압기 | 전기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전기로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2차측은 대전류입 니다. |
반도체 전력 변환 장치용 변압기 |
정류기, SCR 등의 전원 변압기 이며, 정류법에 따라 종류도 다양합니다. 정류기와 일체로 된 것도 있습니다. |
선박용 변압기 | 선박 내의 배전에 사용하는 특수한 변압기로 NK 규제 등에 준하여 제작되며 인정이 필요합니다. |
시동용 변압기 | 대용량 전동기의 시동 전류를 제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변압기입니다. |
누설 변압기 | 네온관 등의 방전관, 아크용접 등 부저항 특성을 가진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에 사용합니다. |
시험용 변압기 | 주로 고전압 또는 대전류 시험 전원으로 사용되는 변압기입니다. |
'전기 관련 > 전기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분류 (0) | 2023.01.09 |
---|---|
변압기 (Transformer) - 3 (2) | 2023.01.06 |
변압기 (Transformer) - 2 (0) | 2023.01.05 |
Condenser에 의한 역률 개선 (0)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