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의 등급 (Tier Level)
데이터 센터의 등급으로는 Uptime Inst itute에서 정의한 [Tier Level]을 사용하고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아래의 개념을 포함하는 계통, 용량, 수량, 유지 보수성, 건축적 구획 등이 포함됩니다. 규모가 있는 데이터 센터는 대부분 “Tier 3“을 만족하도록 설계 및 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 구축되고 있는 국내의 데이터 센터는 모두 ”Tier 3”으로 설계 및 구축되었습니다.
아래의 Tier Level 구분은 기본적인 개념의 High Level Overview이며, 각 Level 수준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Check List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Tier Level | High Level Overview |
Tier 1 (Basic) |
전기와 기계의 단일 계통 & 예비장비 없음 |
Tier 2 (Redundant) |
전기와 기계의 단일 계통 & 예비장비 있음 |
Tier 3 (Concurrent Maintainable) |
한 계통만 활성인 전기와 기계의 다중계통, 예비 구성품, 동시 유지 보수성, 구획화 |
Tier 4 (Fault Tolerant) |
계통이 모두 활성인 전기와 기계의 다중 계통, 예비 구성품, 고장 인내력, 동시 유지 보수성, 구획화 |
데이터 센터(IDC) 등급 표준 규격은 민간 기관인 Uptime Institute의 Tier Level과 미국 표준 기관인 ANSI/TIA-942의 Rated Level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Tier Level은 전기와 기계 중심 규격이고, Rated Level은 부지 선정 (Site Section), 전기, 기계, 화재예방, 통신 등 데이터 센터 구성 전 반에 대한 규정입니다.
데이터 센터 핵심 설비인 전기 와 기계 분야의 규격은 두 기관 모두 동일합니다. 미국을 대표하여 국제 표준화기구에 가입한 미국 국가 표준 협회의의 ANSI/TIA-942의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Rate 1 : Basic Site Infrastrure
단일 설비 (Single Capacity Component) |
단일 계통 (a Single, non-redundant distribution path) |
장애 포인트 상존 (Single points of failure) |
Rate 2 : Redundant Capacity Component Site Instrastructure
설비 이중화 (Redundant capacity component) |
이중화 되지 않은 계통 (non-redundant distribution path) |
장애 대처는 되었으나, 장애포인트 상존 (Improved protection against physical event with a single point of failure) |
Rate 3 : Concurrently Maintainable Site Infrastruture
설비 이중화 (Redundant capacity component) |
계통 다중화 (Multiple independent distribution path) |
무중단 유지보수 (Concurrent maintainability) |
대부분 장애대처 (Protection against most physical events) |
Rate 4 : Fault Tolerent Site Infrastruture
설비 이중화 (Redundant capacity component) |
독립적인 계통의 다중화 (Multiple independent distribution paht) |
무중단 유지보수 (Concurrent maintainability |
모든 장애 대처 가능 (Protection against almost all physical events) |
Rate-3 (Tier 3) 미만의 상업용 데이터 센터는 무중단 유지 보수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운영 중인 고객 장비 IT를 이전하거나 고객 계약을 종료한 후, 공사가 가능하므로 센터의 기능/구조 개선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업용 데이터 센터는 고객 IT 장비의 운영 중단 없이, 센터의 구조/기능 개선과 장애 대처가 가능해야 하므로 무중단 유지 보수가 가능한 Rate -3 (Tier 3) 이상으로 설계/구축되어야 합니다.
최근 데이터 센터가 고집적화 (High-Density) 되고 대형화(Hypesrscale) 됨에 따라 무중단 유지 보수 (Rate-3, Tier 3)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데이터 센터의 설계/구축의 필수 조건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전기 관련 > 데이터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센터 기본용어-6 (1) | 2023.01.02 |
---|---|
데이터센터 기본용어-5 (1) | 2022.12.30 |
데이터센터 기본용어-4 (0) | 2022.12.28 |
데이터센터 기본용어-3 (0) | 2022.12.28 |
데이터센터 (1) (0) | 2022.12.28 |
댓글